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소개할 책은 너무나도 유명한 에거서크리스티의 추리책인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입니다~!!!
평소에 자기계발서적이나 제테크책을 주로 보는 저에게 이 추리소설은 좀 불필요하다? 남는게 없을 것 같다라는 느낌을 주었습니다..
그러나 다 읽고나서는 추리소설이 주는 막혀있던 의문들이 확 뚫리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한마디로 아주 재밌게 보았습니다 ㅋㅋ 

 


[작가소개]


아가사 크리스티
추리소설의 여왕 애거서 크리스티는 1890년 9월 15일 영국의 데번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뉴욕 출신의 아버지 프레드릭 앨버 밀러와 영국 태생의 어머니 클라라 버머 사이의 삼남매 중 막내로 어린 시절을 애슈필드라 불리는 빅토리아 양식의 집에서 보냈고 이때의 경험이 그녀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열한 살에 아버지를 여읜 그녀는 열여섯에 파리로 건너가 성악과 피아노를 공부했다. 1912년, 영국으로 다시 돌아와 2년 뒤 크리스티 대령과 결혼, 남편이 출전하자 자원 간호사로 일하기 시작했다. 미스터리 소설을 즐겨 읽던 그녀는 1916년 첫 작품으로 『스타일즈 저택의 수수께끼』를 썼는데 이는 4년 뒤인 1920년 출간되었다.

그녀의 처녀작인 『스타일즈 저택의 수수께끼』는 전쟁터에서 부상을 당한 헤이스팅스가 옛친구의 어머니 집인 스타일즈 저택을 방문하면서 독살 사건에 휘말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당황한 헤이스팅스가 순간 떠올린 것은 계란형 얼굴에 콧수염을 자랑하는 벨기에에서 망명한 에르큘 포아로. 회색 뇌세포로 불리는 불후의 명탐정 포아로가 처음으로 등장하는 책으로, 추리 소설의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후 계속 소설을 발표하던 그녀는 남편과의 불화로 이혼한 뒤, 이듬해 메소포타미아 여행을 하던 중 고고학자 맥스 멜로윈을 만나 1930년 재혼하였다. 1967년 여성으로는 최초로 영국 추리협회의 회장이 되었고, 1971년에는 뛰어난 재능과 왕성한 창작욕을 발휘한 업적으로 영국 왕실이 수여하는 데임(Daem) 작위(남성의 Knight에 해당하는 작위)를 엘리자베스 여왕으로부터 받아 데임 애거서가 되었다. 1976년 1월 12월 런던 교외의 저택에서 86세의 나이로 별세할 때까지 장편 66권, 단편집 20권을 발표하여 '추리소설의 여왕'이라는 별명과 함께, 지금까지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추리 소설 작가로 군림하고 있다.


 [줄거리]


인디언 섬이라는 무인도에 여덟 명의 남녀가 정체 불명의 사람에게 초대받는다. 여덟 명의 손님이 섬에 와 보니 초대한 사람은 없고, 하인 부부만이 그들을 기다리고 있다. 
뒤이어 섬에 모인 열 사람이 차례로 죽어간다. 
한 사람이 죽자, 식탁 위에 있던 열 개의 인디언 인형 중에서 한 개가 없어진다. 인디언 동요의 가사에 맞춰 무인도에 갇힌 열 사람은 모두 죽고 한 사람도 살아 남지 못한다. 
인디언 섬에는 이들 열 명 외엔 아무도 없다. 
섬에 갇힌 사람이 모두 살해되었으니 범인은 도대체 누구일까?

 


[느낀점](스포주의)


인디언 섬에 온 10명의 사람들은 모두 법 테두리 안에서는 일반인들 이지만 사실 의도적으로 살인을 했던 사람들 이였습니다. 처음에 레코드 소리에서 들리는 소리를 듣고
본인은 무죄라고 방방 뛰지만, 다른사람들이 그것에 대해서 더 캐묻지 않는데도 다들 술술 이야기를 꺼내놓습니다. 결국 본인들도 본인이 저지른 것을 알고 있고 그것에 대해서 죄의식을 가지고 있던 것입니다.
어찌보면 법을 지키는 것이 형벌을 피하기 위해서 라기 보다는 본인을 떳떳하게 하기 위해서 라고 생각합니다..  
감정적으로 무언가를 하기 보다는 이성적으로.. 사는게 중요하다라고 느꼈습니다..
각 각 인물들이 느끼는 서로를 의심하는 상황에서 본인의 죄책감에서 시달리는 심리를 잘 보여주어서 더욱 몰입감 있게 보았습니다..  
그리고 추리력이 부족해서 인지 세세히 보면서 읽었는데도 완전 엉뚱하게 혹시 섬에 다른사람들 더 있는거 아냐? 이런 생각만 하고 있었습니다.. ㅋㅋ 후반에서는 뭔가 죽은 사람들중 한명이 범인 인것 같다는 생각까지는
갔었는데 아니 죽었다고 했는데 어떻게 살아나지? 하고 그냥 다른 생각을 해버렸습니다.. 마지막에는 범인은 섬밖에서 그냥 분위기만 조정했을 거다 라고 생각했었는데.. 결국 틀려버렸습니다 .. 



[추천]



추리소설을 별로 보지않으신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책이 그렇게 두껍지 않기 때문에 (한 200페이지 정도 됩니다~) 코로나 때문에 밖에 나가지 못하고 집에서 할 일이 없으 신분 들에게 여유롭게 보시기 좋은 책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소개해 드릴 책은 <오베라는 남자>입니다!


'프레드릭 베크만' 의 데뷔작으로 처음에는 블로그에서 짧은 형식으로 글을 썻다가 주변의 권유로 장편소설로 만들어서 출판을 하게된 독특한 스토리가 있는 소설입니다~
내용의 진행은 옴니버스식으로 진행이 되지만  각 각의 사건이 나중에 쭉 이어지는 재밌는 형식으로 진행이 됩니다~ 
저는 중고서적 알라딘에서 이책을 싸게 사서 아주 아주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영화로도 제작이 되었다고 합니다. 책을 보신 분들도 한번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줄거리


아내 소냐가 죽은지 6개월이 된 오베는 이제 세상에 더 이상 미련이 없습니다. 그래서 그는 아내를 따라 세상을 떠날려고 합니다.. 그러나 그의 죽음을 방해하는 이들이 자꾸
등장해서 오베를 방해하는데.. 툴툴대지만 따듯한 마음을 가진 오베는 주변사람들을 챙기다 보니 점점 죽기로한 스케줄이 밀리게 됩니다.. 그런데, 한명을 도와주니 또 다른
일이 생기고 그 일을 해결하면 또 다른 일이 생겨 번번히 자살을 못하게 되는데.. 과연 오베는 원하는 바(?)를 이룰수 있을까요..???


추천이유 


1) 심술, 꼰대지만 미워할 수 없는 츤데레 할아버지 오베!
 

   매사가 비관적인 케릭터 오베, 왜 그를 미워할 수가 없을까요?? 행동 말투만 보면 꼰대인게 분명합니다. 하지만 일반 꼰대랑은 다른   게 있는데 바로 '책임감' 입니다! 말로만 어쩌구 이래야 된다 저래야 된다고 말할 수있는 사람은 많지만 정작 본인이 손해를 보면서 도와주어야 할 상황이 되면,, 언제 그랬나 싶게 조용해지는 꼰대가 아니라,투덜대지만 책임지고 도와주는 오베를 보고있으면 이것이 진정한 어른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게 합니다
   저를 포함해서 현재에는 나이만 먹은 어른 같지 않은 어른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현재에 오베의 행동들은 잊혀졌던 어른다움, 남자다움이 무엇인지 느끼게 해주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2) 불행하지만 이를 극복하고 멋진 어른이 된 청년 오베!


  이 소설은 할아버지 오베가 과거 본인의 과거를 회상하면서 청년 시절 오베때로 돌아가 예전에 겪은 일들을 생각하는 파트가 있습니다.  저는 이 부분의 이야기도 굉장히 재미있었습니다. 오베가 겪은 고난의 이야기를 보면서 마음이 아프기도 했고 오베가 소냐를 처음 만났던 설레임등..  그리고 행복한 결혼생활을 읽으면서 웃음을 짓게 됩니다.

3) 하자가 많지만 정감이 가는 주변인물들!


  파르바네의 남편부터 시작해서 여러 명의 오베를 답답하게 하는 주변인물들이 많이도 나옵니다^^ 그런 사람들은 오베는 툴툴대지만 실질적으로 필요한  도움을 주면서 순간 순간 터져나오는 캐미를 보고 있으면 재밌기도 하면서 마음이 따듯해 집니다


이런 분에게 추천드립니다!


1)츤데레 케릭터를 좋아한다.

2)진짜 어른스러운게 무엇인지 궁금하다.

3)보고 나서 재밌고 마음이 따듯해 지는 소설을 보고 싶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