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자란?
증자란 주식을 발행해 회사의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것.
증자에 대해서 알기 전에 먼저 회사들의 자본구조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그림과 같이 회사의 총자산은 회사의 자기 자본인과 남에게 빌려온 부채로 크게 나뉘어 진다.
증자라는 것은 주식발행대금을 늘려 회사자본금을 늘리는 행위를 말한다.
증자의 이유?
크게 증자를 하는 이유는 증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새로운 사업을 위한 투자금 이나 기존 사업확장을 위한 투자금 혹은 지금 현재 있는 부채금을 상환하기 위해서 증자를 하는 이유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업으로 생긴 이익잉여금을 이용해서 새로 주식으로 발행하기 위함이다.
증자의 종류
증자의 종류는 크게 두가지로 생각하면 된다.
증자를 할때 추가 자본금이 유입이 되느냐 되지 않느냐 이다.
밖에서 추가 자본금을 유입해서 주식을 발행하는 경우를 유상증자라고 하고
추가 자본금 유입없이 이익잉여금을 주식으로 발행하는 경우 무상증자라고 한다.
유상증자
유상증자는 추가 주식수를 발행해서 투자금을 더 늘리는 행위를 말한다. 그래서 유상증자를 하는 이유는 사업확장 및 부채상환이 주된 목적이다. 유상증자의 좋은 점이라고 쉽게 자본금을 늘릴수 있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총자산이 느는 방법은 자본금을 늘리거나 아니면 다른 곳에서 돈을 빌려와 부채로 늘리는 경우이다. 아무래도 부채보다는 자본금이 증가하는 것이 회사경영에 부담이 줄어들것이다.
유상증자를 하면서 누구에게 먼저 신주를 살 수 있는 권한을 주느냐에 따라서 세부적으로 유상증자의종류를 나눌 수 있다.
무상증자
무상증자는 추가자본금을 만들지 않고 이익금을 주식수로 바꾸는 행위를 말한다. 어찌생각해 보면 이런 증자가 무슨 의미가 있나 싶지만, 무상증자를 함으로써 생기는 긍정적인 효과들이 있기 때문이다.
1)회사의 재무가 탄탄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무상증자는 기본적으로 잉여이익금이 있어야 가능하다. 매 분기마다 적자만 내거나 간신히 버티고 있는 회사들은 애초에 무상증자를 할 수가 없기 때문에 무상증자를 하게 된다는 것은 재무가 좋은 회사인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2)유동성증가
주식수가 추가로 발행이 되기 때문에 주식수가 많아지면 이에따른 효과로 시장에 더많은 주식의 유통이 생기게 된다.
3)투자자에게 매력적
무상증자라는 것은 어찌보면 회사의 이익금을 주주들에게 주식이라는 매개체로 이익을 공유하는 것이다. 이런면에서 보자면 무상증자를 하는 회사들은 투자자들에게 좋은 이미지를 줄 수 있다.
'주식 >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공부][RSI란? RSI를 이용한 매수/매도 타이밍 잡기] (0) | 2021.02.06 |
---|---|
[주식공부][공매도의 과정, 공매도의 문제점, 무차입공매도] (0) | 2021.01.31 |
[주식공부][공매도란? 하는 이유? 대처방법은?] (0) | 2021.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