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실 오늘 가장 핫 한 것은 빅히트 청약 첫날 8조가 몰린 것이지만 내눈에는 이게 더 돈이 되보여서 이기사를 스크랩을 한다. 이기사에서 말하는 변동성은 곧 진행되는 미 대선으로 인한 변동을 말했다. 그러나 내가 생각하기에는 이래저래 많은 변동성이 존재할 것이다. 

 

「5일 한국거래소와 삼성증권에 따르면 글로벌 리츠 지수인 'S&P Global REIT'는 지난 주(9월28~10월2일) 4.5% 상승하며 같은 기간 S&P 500 지수(1.5%)를 3.0%포인트 상회했다. 추석 연휴 기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코로나19 확진 등으로 미국 주식시장이 하락했지만 리츠는 큰 폭 올랐다.


 

내가 생각하는 앞으로 생길 변동성 중 가장 큰 것은 코로나가 아닐까 싶다. 트럼프대통령도 코로나에 걸렸고 유럽도 지금 갑자기 증가하는 코로나로 인해서 다시 틀어막고 있는 실정이다. 변동에도 좋아지는 변동이 있다면 이렇게 코로나이슈로 생기는 변동은 보통은 않좋은 방향으로 흘러가기 마련이다. 세계경제도 그렇고 산업들도 둔화되니 말이다.

 

두번째로 이번 정부를 기점으로 해서 미친듯이 올라버린 부동산 가격이다. 이번 '나혼자 산다'에서 나온 김광규씨의 스토리가 인터넷 커뮤니티사이트에서 아주 핫하다. 집을 산 자와 그렇지 못한 자의 격차는 비참할 정도로 다른 인생이 되었다. 이런 현실을 보고 되게 씁쓸해 하는 모습들이 많이 보였다.. 이렇게 미친듯이 오른 집가격 때문에 일부는 아예 포기를 하고, 그나마 여력이 있는 사람들은 '패닉바잉'으로 더 오르면 사지 못한다는 무서움에 아무런 생각없이 집을 사고 있다.자금은 한정적이다. 그래서 부동산이 호황일때는 주식에 들어오는 돈이 적었고, 부동산이 불황일 때는 주식이 호황 이였다. 

 


미 대선 포함해서 내가 생각하는 변동이라는 것이 좋은 주식시장에 좋은 변동은 아닐 것이다.

그래서 배당을 많이 주는 주식이 이런 변동성에 상대적으로 더 좋아 매력적으로 보일 것이다.

그리고 미친듯이 오르는 부동산 가격이 주식 자금수급에는 악영향을 끼치겠지만 리츠주식을 이용해서 투자를 한다면 오리혀 호재라고 생각한다. 부동산 가격이 탄탄하고 올라갈수록 리츠주식의 가치는 올라 갈것이다.

 

 

리츠중에서 몇개 눈에 들어오는게 롯데리츠와 신한알파리츠 이다. 롯데리츠는 롯데쇼핑이 50%를 가지고있는 주식으로 롯데 백화점의 부동산가치를 주 수입원으로 벌어들이고 있다. 신한알파리츠는 용산이나 분당같이 노른자 땅 건물로 수익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리츠투자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안정성이 좋아 보인다.

이글을 계기로 해서 리츠에 대해서도 한번 공부를 해봐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이 든다.

 

 

 

 

관련기사 링크

 

1)finance.naver.com/news/news_read.nhn?article_id=0004505387&office_id=014&mode=LSS3D&type=0&section_id=101&section_id2=258&section_id3=402&date=20201005&page=1

2)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11922438

3)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25&aid=0003040679&date=20201005&type=1&rankingSeq=1&rankingSectionId=101

4)finance.naver.com/item/news_read.nhn?article_id=0004708335&office_id=018&code=330590&sm=title_entity_id.basic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