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연히 지인의 추천으로 보게된 영화다. 우선 영화의 제목이 좀 특이했다. 포스터는 로맨스 포스터인데 제목은 호러물이다.. 궁금하고 기대를 좀 했었다.  보고나서 내 스타일은 좀 아니였다. 그러나 혹시나 이런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을수도 있기 때문에 이 영화의 재밌는 점을 소개해 보겠다.

 


[줄거리]


“너는 싫어할지도 모르겠지만, 역시…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
나는 그때, 그 말의 의미를 알지 못했다
스스로를 외톨이로 만드는 ‘나’
 학교 최고의 인기인 ‘그녀’
 
 어느 날, 우연히 주운 [공병문고]를 통해
 나는 그녀와 비밀을 공유하게 되었다.
 
 “너 말이야, 정말 죽어?”
 “...응, 죽어”
 
 그날 이후, 너의 무언가가 조금씩 내게로 옮겨오고 있다.


[추천 이유]

 


1) 오늘 살아있음에 감사하게되는 영화!

 


 대략적인 줄거리는 여 주인공은 지금 시한부 상황인 체 영화가 시작이 된다. 그러니 영화 전반적으로 깔려있는 분위기는 죽음의 불안한 기운이 감싸고 있다. 
얼마 안남은 시간 속에서 더 밝고 감사하는 모습을 보고있으면 지금 현재 내가 건강한 것에 감사하게 된다.(혹시하도 건강염려증이 있는 사람에게는 역효과가 있을 수도 있다..)

 


2)인간은 혼자사는게 아니야!

 

 


 남자주인공은 반에서 아싸이다. 남들한테 폐를 끼치기도 싫어하고 도움도 주지 않는다. 그 와 반대로 여자주인공인 사쿠라는 밝고 주변친구들도 많은 인싸이다. 사쿠라는 주인공에게 지속적으로 영향을 준다.
다른 누구에게도 마음의 문을 열지 않던 주인공이 점점 사람들과의 소통을 하게되고 점점 성장하게 된다. 성장하는 모습을 보고있는 나에게도 많은 것을 깨닫게 해준다.


[비추천 이유]

 


1)너무 엉성한 스토리 라인!

 

 

 


  스포라서 자세히 언급은 하지 않겠지만 '응..?갑자기..??' 이런 생각을 분명 하게 될 것이다. 이 영화의 스토리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번째로는 사쿠라의 성격이다. 
물론 살 날이 얼마 남지 않는 시한부이기 하지만, 갑자기 왜저래? 라는 행동들을 많이 한다. (물론 이것은 마지막에 어느정도 설명이 되지만..그래도 너무 이상한 행동을 많이 해서 감수성이 부족한 나로써는 영화에 몰입이 안되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차라리 주인공들 나이를 고등학생으로 나이를 설정하지말고 대학생이나 20대로 설정 했으면 좀더 풍부한 이야기 많았을 것 같은 아쉬움이 있다.

2)로맨스 부분이 너무 약하다!


  아싸인 남자가 주인공이다.. 너무 답답하다..(이건 일본영화의 기본옵션인 것 같다.) 그리고 영화 전반적으로 삶과 죽음에 대한 이야기가 중점적이다 보니, 둘이 서로를 애틋하게 좋아한다는 느낌은 없어 보였다. 사랑이 보다는 우정에 가까워 보였다.
 부족한 아싸친구가 걱정되는 시한부 친구 정도로 말이다.

 


[전체적으로..]
-삶의 감사함을 느끼게 해주는 영화! 그러나 로맨스영화인데도 설렘지수는..?

반응형
반응형

 

 

 

 

 

오랜만에 영화관에 가서 MAX 한 캔과 함께 현재 개봉 중인 <작은아씨들> 보고 왔습니다

 

아케데미 시상식에서 의상상을 받았던 만큼 의상과 전체적인 영화의 배경과 색채가

 

너무 아름다운 영화였습니다. 영화 구성이 과거와 현재를 이동하면서 진행이 지루하지 않게

 

했습니다. 결혼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게 되는 유익한 영화였습니다.  곧 결혼을 앞두시고

 

계신 여성분들, 혹은 비혼을 하기로 마음먹은 분들에게 이 영화를 추천 드립니다!

 

 

 

 

줄거리

 

 

 

이 영화의 인물은 4명의 자매를 중심으로 돌아갑니다. 맏언니로써 동생들을 잘 보살피고 배

 

우가 되고 싶어하는 '메그', 작가가 꿈이고 능동적으로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 '조', 4명의 자

 

매 중 가장 심성이 착하고 수줍음이 많은 '베스', 질투가 많고 그림에 재능이 있는 '에이미' 

 

이 네 자매는 가난하지만 더 부족한 이웃을 도우며, 물질적인 것보다 정신적인 풍요 속에서

 

성장합니다. 그리고 옆집에 살고 있는 '로라'와 같이 즐거운 유년시절을 보내게 됩니다.

 

시간이 흘러,'조'는 결혼 대신 꿈을 이루기 위해 뉴욕에서 자취를 하면서 글을 씁니다. 

 

그러나 출판사에서는 자극적이고 본인의 뜻과 다른 결말을 요구하면서 '조'는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괴로워 합니다. 그러던 중 '베스'의 건강상태가 악화가 되어 본가로 내려가게 되면

 

서 '조'는 과거 유년시절을 회상합니다...

 

 

 

 

결혼은 여자에게 독일까?  *스포주의*

 

 

 

  이 영화를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는 결혼과 여성 이라고 생각됩니다. 주인공인

 

 '조'에게는 결혼은 꿈을 포기하게 만드는 방해물, '메그'의 결혼을 통해 계속 유지하고 싶었

 

던 유년시절의 끝을 알리게 만드는 수단처럼 부정적으로 작용합니다. 그 밖에도 여성에게 

 

결혼을 강요하는 사회를 비판합니다.  제가 이 영화를 추천하는 이유 중 하나는 결혼에 부정

 

적인 모습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좋은 모습도 잘 표현을 해주었기 때문입니다. 결혼과 여

 

성의 갈등을 더 극대화 하기 위해서 영화에서 결혼을 해서 불행해진 여성의 모습이나 무책

 

임한 남편등의 설정을 추가해서 '이것 봐 결혼은 여자들의 자유를 빼앗고 결혼을 하면 손해

 

인 거야!'라고  충분히 표현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 영화에서는 이러한 설정을 보여주

 

지 않습니다.( 만약 이러한 설정을 했었다면 남녀 혐오, 싸움이 더 부각되었을 것이라고 생

 

각합니다.) 

 

그대신 결혼을 통해 행복해 질 수 있다는 메시지를 계속 전달 합니다. 다만 그러기 위해서

 

는 '희생'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다친 아버지를 위해서 간호를 하러 떠나는 어머

 

니, 자신의 옷보다는 상대방의 옷을 생각하는 메그부부 ) 

 

  그리고 꿈을 선택한 '조'가 뒤늦게 '로라'의 사랑을 느끼며 힘들어하는 장면에서 여러 생각

 

을 하게 했습니다. 

 

   한쪽으로 치우친 시각을 제시하면서 작가의 생각을 주입 시키려는 것이 아닌 여러 시각

 

을 제시함으로써 현대를 사는 사람들에게  결혼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게 만드는 점이 

 

좋았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