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추석 연휴를 잘 보내고 있는 와중에 네이버 검색어를 가득 채운 트럼프대통령의 코로나 확진 소식을 보게 되었다.  처음 드는 생각은 "이 변화가 코스피에 어떤 영향을 줄까?" 였고 그 질문에 대한 대답은 좋을 수 없었다. 최근에 북한과의 트러블 한번으로도 코스피와 코스닥은 바로 주저 앉았다. (이렇게 주변국가, 조금의 이벤트로도 주가가 휘청이는 나라가 또 있을까 싶다..)

 

우리나라지수는 예전부터 나스닥을 많이 따라갔었다. 

그래서 관련 기사를 찾아보았다.


 



이런 상반된 평가가 나오고 있었다. 누구는 지금을 급락의 시작으로 보는 사람이 있고 다른 사람들은 약간 출렁이긴 했지만 이내 바로 회복을 했다고 보는 시각도 존재했다. 

 

첫번째 기사는 그냥 나스닥이 2.2%로 하락했다는 사실만 담고 있어서 그리 분석할 것이 없고, 두번째 기사를 보면 몇가지 중요하게 봐야할 점이 있다. 

 

백악관은 대통령의 증상이 미미하며 통화로 업무를 보고 있다고 밝혔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업무 공백이 올 수도 있다.

 ☞현재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태가 위급하지 않다고 보도하고 있지만 나중에라도 상태가 악화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렇게 되면 또 주식시장에 영향이 올 것이다.

 

CNBC는 낸시 펠로시 하원 의장리 항공 분야에 대한 추가 지원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경기부양책에 대한 기대감리 높아진 것이 증시의 낙폭이 적었던 이유로 분석했다.

☞경기부양책이 실제로 진행이 된것이 아니라 가능성을 시사만 한 것이기 때문에 여러 변수가 존재해 보인다. 더군다나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 확진으로 경기부양책의 진행이 더뎌질수도 있는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지수가 어떻게 영향을 받을지인데

 

내 생각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 증상이 어느정도이고 얼마나 가느냐가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같이 대통령의 역할이 중요할 때에 빠르게 업무를 해결하지 못하면 이는 주가의 급락으로 이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관련기사링크

1)finance.naver.com/news/news_read.nhn?article_id=0004750357&office_id=018&mode=RANK&typ=0

2)finance.naver.com/news/news_read.nhn?article_id=0003805483&office_id=011&mode=RANK&typ=0

 

반응형
반응형

1)

 

 

진단키트와 관련해서는 '씨젠'이 가장 눈에 띄게 올랐었다. 코로나라는 큰 시대의 변화에 빨리 발 맞추어서 코로나키트가 필요할 때 딱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로 본다면 이번 '진매트릭스'도 다른 회사보다 빠르게 도약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진매트릭스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코로나19와 독감(인플루엔자)을 동시 진단하는 ‘네오플렉스 FluCOVID Detection Kit’의 수출 허가를 지난달 29일 획득하고 본격적인 수출에 나선다고 1일 밝혔다.

 

점점 활동하기 힘들어지는 사회로 바뀌어가고 있다는 생각이든다.. 코로나도 제대로 완치하지못했는데 이제 독감까지 전례가 없는 '트윈데믹' 사태 속에서 우리들의 생확은 더욱 불편해지고 마스크속에서 왠지 날이 서있는 듯한 분위기가 되어서 안타깝다. 우리나라는 그래도 상대적으로 코로나를 잘 관리하고 있는 나라 중 하나 이지만, 주기적으로 감염이 한번 씩 터지면 통제가 불가능한 상황을 몇번 겪어보았다. 끝까지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안된다.

 

특히, 해당 제품은 원활한 수출을 위해, 세계 각국의 여러 검사 장비에서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의료 현장에서 검체 채취 단계부터 검사 결과 확인 단계까지의 모든 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 검사 결과 신뢰도를 한층 높였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그러면 지금 진매트릭스 주가와 회사 상태를 살펴보자!

 

 

 

차트상황으로 봤을 때는 이제 본격적으로 올라갈 것으로 보이는 모습이다.

 

제무재표도 3월 기점으로 적자 전황 되었고 2Q의 영업이익도 큰폭 상승한 걸로 보여진다. 과연 제 2의 씨젠이 될 수있을까..?? 만약 그렇게 된다면 굉장히 매력적인 회사가 아닐수 없다.

 

8월  14일자 기사이다.

 

이기사를 요약하자면 이렇게 진매트릭스의 흑자전환의 가장 큰 이유는 코로나 진단 키트의 수출로 인한 매출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진단키트 '네오플렉스 COVID-19'를 신속히 개발해 ▲유럽 CE 인증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 수출 허가 ▲미국 FDA 긴급사용승인 등을 순차적으로 획득했다. 현재 유럽, 남미, 중동, 북아메리카 등에 수출 중이다.

 

 

 그러나 역시 바이오주는 꿈을 사는 주식이기 때문에 조심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수출 허가만 났을 뿐 대박이 날지는 아무도 모르기 때문이다.   

 모든 투자는 본인의 판단이 중요하다.

 

 

 

 

 

관련 기사

1)finance.naver.com/news/news_read.nhn?article_id=0004503769&office_id=014&mode=LSS3D&type=0&section_id=101&section_id2=258&section_id3=402&date=20201002&page=1 

2)finance.naver.com/item/news_read.nhn?article_id=0004635592&office_id=009&code=109820&sm=title_entity_id.basic

 

반응형
반응형

휠라홀딩스(081660)코스피

 

 

1. 뭐하는 회사?


대표적인 글로벌 스포츠 웨어의류 회사.

크게 FILA 부문과 Acushnet 부문으로 나누어짐.

*Acushnet는 골프관련 브랜드 중 하나임. (직접운영, 해외자회사 형태로 운영)

홀딩스란?

지주회사(持株會社, Holding Company)란 다른 회사의 주식을 소유한 회사이며 단순히 주식을 소유하는 것만이 아니라, 법적기준 이상의 해당회사의 주식(의결권)을 보유함으로써 그 회사에 대하여 실질적인 지배권을 취득하 는 것을 사업의 목적으로 하는 회사


2.특이사항

1)FILA의 역사 FILA 브랜드는 1911년 Italy Milan 북쪽에 위치한 지역 Biella에서FILA 형제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2007년 휠라코리아 에서 전세계 FILA 상표권 인수함.
  2010년 Acushnet Holdings를 인수함.
  2016년 Acushnet 최대주주올라섬.

    

  2)주요수입원이 FILA 부문과 Acushnet 부문으로 나눌수 있음. 

    3) FIAL 수익원에서도 제품판매 영역과 상품브랜드에 따른 로열티 부문으로 나눌수 있음.

   *중국에서는 FULL PROSPECT의 디자인비를 받고있음.

    4) 최대주주는 (주)피아몬테이다. 이름만 보면 외국계기업 같지만 FILA 대표인 윤씨일가로 이루어진 법인이다.
 

5) BTS를 모델로 써서 BTS관련주로 편입이 되기도 함.  빌보드 차트 1위인  ‘다이너마이트' 뮤직비디오에서 FILA 제품을  입고 나와서 글로벌 인지도 상승.




3.주요수익원

 


1) FILA KOREA

 

 

2) FILA USA

3) ROYALTY

 

4) 중국 ROYALTY

 

5)Acushnet

 




*Acushnet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있음. 
*코로나 19로 인해 공장 셧다운 및 수익의 감소가 일어남.
*로열티 부문에서는 2019년도와 비교해서 크게 달라지지 않음
* USA FILA에서 올해 유일하게 적자 진행중.



4.재무재표

 

 

*로코나 19로 인해 수익률 저하.

*부채비율 감소중. 20Y4Q에서는 매출회복 예상중.

 

 

 

refence 

 

1)finance.naver.com/item/news_read.nhn?article_id=0000584193&office_id=366&code=081660&sm=title_entity_id.basic

2)www.filaholdings.com/kr/invest/ir.asp

3)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81660

4)www.filaholdings.com/kr/invest/finance.asp

반응형
반응형

1)

 

확실히 코로나로 인해 주식가 폭락을 한 후로 주변에 주식관련 이야기가 많이들 나왔다. 그동안 제테크하면 부동산밖에 없었던 우리나라에서 주식이야기가 좀 많이 들렸던것 같다. 그러면서 빠르게 코스피가 회복을 하고 고점을 뚫어버리는 상황까지 오게 되니 현재 경제가 호황이여서 오른 것도 아니기 때문에 거품이 생기게 되었다. 그중 가장 위험한 것이 빚을 이용해 주식을 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큰 돈을 벌려면 원금이 커야 한다. 

 

부동산을 포함해서 모든 투자들이 빚을 내서 했을 때 이자보다 더 큰 돈을 벌게 되면 성공이다. 그러나 문제는 하락할 때 온다. 빚을 내서 투자를 했는데 하락을 해버리면 버틸수 가없다. 하락에 대한 손실에다가 이자도 감당을 해야 되니 말이다. 

 

지난 18일 기준으로 신용 잔고 비율(상장주식 수 대비 기준)이 높은 상위 20% 종목들의 주가는 지난주 평균 8.77% 하락, 코스피 지수 하락률을 웃돌았다. 신용잔고 비율 하위 20% 종목들의 하락률은 평균 4.72%였다.

 

기사에서 나왔듯이 신용으로 많이 매수된 종목들은 하락장일때 더 많은 변동성을 보인다. 결국은 이것이 주식에 악영향을 끼치는 원인이 된다. 매매는 본인의 선택으로 하는 것이지만 빚투는 고민을 많이 하고 진행을 해야 될 것이다.  

 

 

2)

 

 

 

90년대 부터 코스피 상위 10위 기업을 보다보면 여러개의 기업이 올라갔다 사라진다. 그런데 부동의 1위가바로 삼성전자이다. 그리고 앞으로도 이 1위는 굳건히 유지 할 것으로 생각된다. 4차 산업혁명과 AI의 중심에 반도체 그리고 삼성이 있다는 것은 확실하다. 

 

 

 

 

「영업이익 9조5천억원을 전망한 최영산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IM의 세트 출하가 견조하고 자체 원가 관리로 수익성이 상승하고 있다"며 "파운드리는 최근 엔비디아, IBM, 퀄컴 수주가 이어지면서 하반기에 가동률이 오르고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련기사

1)

finance.naver.com/news/news_read.nhn?article_id=0003803738&office_id=011&mode=LSS3D&type=0&section_id=101&section_id2=258&section_id3=402&date=20200927&page=1

 

2)

finance.naver.com/news/news_read.nhn?article_id=0011909120&office_id=001&mode=LSS3D&type=0&section_id=101&section_id2=258&section_id3=402&date=20200927&page=1

반응형
반응형

1)

 

최근 코로나 2.5 단계로 격상이 되면서 프랜차이즈 카폐들의 이용에 제한이 걸렸었다.. 그렇다고 커피 소비가 줄지는 않는다 대체제가 집에서 먹는 '홈카페' 스타일로 변화가 되었다. 그리고 재택근무로 인해서 집에서 먹는 커피의 양이 늘었다. 대표적인 커피인 '맥심'과 '카누'가 있는 동서가 오르게 된 배경이 되었다. 이와 비슷한 사례는 PC방이 있다. PC방 역시 코로나 2.5단계로 인해 영업이 불가했는데, 그로인해 pc방가서 게임을 하던 사람들의 수요가 집에 있는 컴퓨터를 업그레이드 하는 수요로 바뀌게 되어서 요즘은 좋은 그래픽 카드의 매물이 없어서 가격이 올라갔었던 일도 있었다. 

 

 

 

올해 7월 중순 부터 꾸준하게 올라간게 보인다. 지금 진입하기에는 좋은 판단은 아닌듯 싶다.

그러나 어떤 이벤트가 발생 했을때 이로 인해서 발생하는 테마주만 찾기 보다는 이 변화로 사회전반적으로 어떻게 변화가 될지는 크게 생각하는 법을 기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동서> 라는 부채도 적고 안정적으로 이익을 내는 종목을 알게되어 꽤나 좋은 정보를 얻었다고 생각했다..

 

 

 해당기사

 

1)

finance.naver.com/news/news_read.nhn?article_id=0004422999&office_id=015&mode=LSS3D&type=0&section_id=101&section_id2=258&section_id3=402&date=20200925&page=2

반응형
반응형

1)

 

오늘 뉴스 중 가장 핫한 사건이다. 잠잠하던 북한 또... 덕분에 코스피,코스닥 박살 났다. 공식 처럼 빅텍이 급등을 했다.. 

 

방산주는 주기적으로 사두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방산주가 망할 일은 없다. 

 

 

2)

이마트가 뜨고있다. 오늘같이 힘든 장에서도 +1%로 마감했다. 

다른 기사도 보면 특히 온라인 식품 시작에서 시장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고있었다.

 

「김명주 연구원은 이날 "내년 온라인 시장과 식품 시장은 올해보다 각각 16.7%, 24% 성장이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리고 최근에 쿠팡에서 일어난 사기 사건이 있었는데 이를 대응하는 쿠팡의 늦장 대응으로 이커머스의 큰 단점이라고 할수 있는 파는 사람을 신뢰할 정보가 없다는 것이 다시 한번 부각 되었다. 이번일을 시작으로 쿠팡 내에서 짝퉁을 파는 사람들이 있고,  그것도 제대로 잡지 못하는 상황이 부각 되면 이커머스 대신 할인점이나 백화점 매출액이 올라갈 것이라고 판단된다.   

 

 

 

 

reference

1)

finance.naver.com/news/news_read.nhn?article_id=0004476212&office_id=008&mode=LSS3D&type=0&section_id=101&section_id2=258&section_id3=402&date=20200924&page=3

 

2)

finance.naver.com/news/news_read.nhn?article_id=0004475803&office_id=008&mode=LSS3D&type=0&section_id=101&section_id2=258&section_id3=402&date=20200924&page=8

 

finance.naver.com/news/news_read.nhn?article_id=0004500233&office_id=014&mode=LSS3D&type=0&section_id=101&section_id2=258&section_id3=402&date=20200924&page=8

반응형
반응형

 

오늘 가장 핫했던 것은 LG 화학 이였다. 

베터리와 화학을 분리하기로 결정을 내린 까닭에 대량의 매도세가 이어지고 있다. 

왜냐하면 LG 화학이 그동안 그렇게 오를수 있었던 것은 베터리에 대한 기대감과 실적이였기 때문이다. 

말만 화학이지 베터리섹터에 들어가 있는 회사였다.

 

그런LG화학에세 물적분할은 치명적이였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외국인과 기관은 매수세를 이어가고 있어서 좀 의문이다.

내생각에는 다 못나와서 좀더 올렸다가 내칠려고 하는 것같지만 말이다.

 

오히려 물적분할된것이 화학쪽에만 더 집중 할 수 있게 되어서 LG화학에게 이득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정용진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전지사업부 투자에 집중했던 상황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성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존속법인에서도 숨어 있던 가치가 나타날 수 있다”며 “석유화학 사업부의 스페셜티 강화, 양극재 등 전지 재료 확장, 생명과학 사업부의 신약·백신·진단 투자 등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2)

 

 

생각해보면.. 당연한 결과이다. 특히나 이번 추석은 안모이기로 하는 집들이 많이 있다고 하고 정부에서도 그걸 장려 하는 상황이니 말이다. 그럼 당연히 택배 회사들의 이익이 증대될 수밖에 없었다.. 사실 지나고 나서는 확실히 보이는 것이다. 주식이란것이.. 

 

 

이미 한번 급등을 하고 오늘은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상승할 여지가 더 많아 보인다.. 

20일선에 터치를 하면 충분히 진입해도 나쁘지 않은 종목이라고 생각한다.

 

 

 

 

 

 

 

 

 

 

 

reference

 

1)finance.naver.com/news/news_read.nhn?article_id=0003800986&office_id=011&mode=LSS3D&type=0&section_id=101&section_id2=258&section_id3=402&date=20200921&page=1

 

 

2) finance.naver.com/news/news_read.nhn?article_id=0004660219&office_id=009&mode=LSS3D&type=0&section_id=101&section_id2=258&section_id3=402&date=20200921&page=1

 

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120

반응형
반응형

도화엔지니어링 (002150) 코스피

 

1. 뭐하는 회사?

 

 

     엔지니어링 = 과학지식을 기반으로 시설물관리(유지및 보수), 건물설계, 환경영향 평가 등을 하는 사업

     

     그중 건설 건설엔지니어링은 건설사업의 계획, 조사, 환경영향평가, 사업타당성검토, 설계(기본, 실시설계), 시공, 감

     

     리 등 전체 프로세스 가운데 시공을 제외한 대부분의 공정에 대해 용역을 제공하는 사업.

 

 

2.특이사항

 

       1 )도화엔지니어링은 시공을 하지않음 (제조업이 아님.)

        2)  1)의 이유로 원료에 대한 지출은 없음.

        3) 엔지니어링에서 중요한 것은 전문인력을 얼마나 보유하고 있냐임. 

        4) 수주방법은 입찰제로 진행 - 전문성과 신뢰가 중요.

        5) 수주하는 곳이 주로 관급.  SOC사업예산에 따라 매출의 영향이있음.

        6) SOC 사업예산은 경기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경기에 따른 영향은 적음.

 

 

3.주요 수익원

 

 

           1)사업부문별 

 

           2) 사업별 매출액 상세사항

 

 

           3)주요 수익현황

 

         4) 국내외비율

                                            

              

           *영업이익의 대부분은 설계부문이고 그중에서도 플랜트설계가 큰 비중을 차지.

           *해외영업 비중이 증가하고있음.

       *대표적인 사업수주로는 GTX A노선설계, 영종하늘도시 계발 설계 등이 있다.

 

 

4.시장 점유율

    1)국내 점유율

 

    2)해외 점유율

 

5. 재무재표

 

 

         * 매출액 증가중 코로나 여파로 인해 감소함.

         * 많은 매출이 아니여도 배당을 줌.

         * 동종업계회사랑 비교해서 적은 부채비율.

 

 

 

 

reference

1) www.dohwa.co.kr/main 

2)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2150

3)dart.fss.or.kr/dsab001/main.do?autoSearch=true#

반응형
반응형

 

 

1)

 

최근 테슬라가 고점대비 30%가량 떨어졌다. 이렇게 떨어진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었지만 결국 본질적인 것은 회사가 돈을 벌지 못해서 일것이다. 이 기사를 보고 현대기아의 저력을 다시 한번 느낄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자동차를 좋아해서 각 브랜드의 신차 영상을 자주 챙겨본다. 펠리세이드 부터 현대 기아차 신차 나오는 걸 기대하기 시작했다.  겉은 단정하지만 고급스럽게 만들고 인테리어는 최신차의 느낌이 나게 만들어 갖고싶다 라는 생각이 들게 만들기 시작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한국기업에서 만든거라서 한국인이 좋아할만 하게 만들어서 내눈에는 이뻐보이나?'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그게 아니였다. 

 

현대기아차가 미국 SUV 판매 점유율을 63.7%를 기록했다. 작년 56.6% 최고 기록을 한번더 갈아엎은 것이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SUV가 인기를 끌고 있는데 그중 가장 큰 시장이라고 평가 받는 미국에서  SUV판매량이 64%가량을 현대기아가 차지하고 있다는게 대단하지 않을 수 없다. 

 

테슬라와는 달리 견고한 판매 뿐만 아니라 점유율 또한 점점 높여가는 현대기아차는 아직 더 상승 여력이 있다고 판단된다.

 

 

2)

 

 

「효성중공업은 성남 중1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조합으로부터 3305억4937만원 규모의 성남 중1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을 수주했다고 18일 공시했다. 계약금액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의 8.74% 규모이며, 계약기간은 실착공일로부터 42개월이다.」

 

 

효성하면 대표적인 배당주중 하나이다. 그리고 이번 그린 뉴딜 정책으로 인해 수혜를 입은 회사이다. 

그린뉴딜 수혜주로 주가 상승이 많이 일어난 상황이다. 이 수주 공시가 장이 끝나고 올라 왔기 때문에 다음주 월요일에 영향이 있을 건데 차트의 상승하락을 눈여겨 봐둬야 겠다. 이미 충분히 오르고 예상된 호재는 오히려 주가를 하락 시키게 만드는 상황을 만드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1)finance.naver.com/news/news_read.nhn?article_id=0003799972&office_id=011&mode=RANK&typ=0

2)finance.naver.com/news/news_read.nhn?article_id=0004758150&office_id=277&mode=RANK&typ=0

반응형
반응형

 

 

사람들은 여행을 못가지만 물건들은 여기저기 잘 여행을 다니고 있는 모습이다. 코로나19는 사람들의 생활을 많이 바꾸었다는게 실감된다. 그러나 사람들은 적응을 하고있다. 그러면서 큰 타격을 받았던 글로벌 무역들이 다시 회복하는 추세가 보여진다. 

 

 

위 사진은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 지수이다. 올해 상반기에 뚝 떨어지긴 했지만 다시 회복을하고 최고치를 찍고있는 모습이다. 전세계적으로 보면 아직도 전년대비 마이너스이다. 

 

「네덜란드 경제정책기획국(CPB)의 ‘월드 트레이드 모니터’에 따르면 글로벌 물동량은 지난 4월 전년 동월 대비 16.3%, 5월 17.9% 줄었습니다. 하지만 6월엔 -10.1%로 낙폭이 줄었습니다.

 

 

예측을 -30%로 하고있던 상황에서 -10%선에서 끊어주니 회복하는 추세에 더욱 힘이 실리는 것이다.

 

코로나19로 국가 간 ‘사람들의 이동’이 막히자 ‘물건들의 이동’이 더 활발해졌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전자상거래 이용자가 늘어나니 국경을 넘나드는 택배 물량도 폭주하고 있다는 겁니다. 재택근무와 온라인 수업으로 인해 컴퓨터와 전자 부품,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의료용품도 글로벌 물동량 회복에 기여했습니다.

 

이와 관련된 주식을 찾아보니 3개정도 나온다. 

첫번째는 HMM(옛 현대상선)이다. 기사에서는 이 회사에 초점에 두고 말하고있었다.  

컨테이너운임증가에 영향을 많이 받았던 회사로 보여진다.

 

 

 

 

주봉기준으로 저점에 비해 3배가량 올라와있다.. 그리고 몇년째 적자를 기록중이다. 

그러나 2Q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된것이 보인다.. 단기로 들어가면 나쁘지 않다고 보여진다.

 

 

두번째는 BDI의 영향을 받는 벌크회사들이다. 

대한해운과 팬오션이 있다.  이 두회사는 HMM보다는 아직주가회복이 다 되지 않았다. 

BDI수치가 7월을 기점으로 떨어져서 그렇다고 한다. 이 둘중에 더욱 눈이 띄인것은 팬오션이다.

 

 

 

 

 

차트는 아직 회복이 덜되었고 재무에서 눈여겨 본게 올해 2Q에서 오히려 실적이 올라간 것이다.

이런 악재속에서도 좋은 실적을 만든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렇게 낼수 있었던 것은 

 

팬오션은 ‘비정기적 단기운송계약(스팟영업)’을 강화한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단기운송계약은 전용선 계약보다 시황이 운임에 빠르게 반영되기 때문에 운임이 낮을 땐 운용을 줄이고, 운임이 높을 땐 운용을 늘릴 수 있다. 국제유가도 하락하면서 운항 원가가 줄어들어 수익성 역시 극대화했다. 팬오션은 "시황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유효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몇일전에 곡물터미널 2대주주로 곡물사업강화를 통해 하반기에 더욱 좋은 실적이 예상이 된다.

 

첫번째기사를 보면서 여러기사를 찾아봤지만 나라면 HMM보다는 팬오션에 투자를 할것이다. 

 

 

 

 

 

 

 

참고기사링크
1)finance.naver.com/news/news_read.nhnarticle_id=0004417688&office_id=015&mode=LSS3D&type=0&section_id=101&section_id2=258&section_id3=402&date=20200916&page=1
2)finance.naver.com/item/news_read.nhn?article_id=0000571671&office_id=366&code=028670&page=&sm=title_entity_id.basic
3)finance.naver.com/item/news_read.nhn?article_id=0004494197&office_id=014&code=028670&page=&sm=title_entity_id.basic
반응형

+ Recent posts